티스토리 뷰

반응형

집 지으려고 하니, 평생 안 배워도 될 것을 공부하게 되네요. 업체에 맡기자니, 원하지 않는 기능이 들어간 제품을 설치하거나 너무 구린 제품을 설치하게 될 것 같아서 하이크비젼 CCTV와 녹화기는 제가 직접 구입하고 설치만 요청하려 합니다. 그래서 IP 카메라와 NVR 녹화기를 구입했어요. 이것도 직업 때문에 생긴 쓸데없는 완벽주의 병인 듯...

한화 테크윈 XRN-410S

NVR 녹화기는 한화 테크윈 XRN-410S 입니다. H.265 4K가 저장되고 POE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고르다가 이 제품을 구입했어요. 국산제품이라 매뉴얼이 친절하게 있을 줄 알았는데, 퀵 매뉴얼만 들어 있고 상세 매뉴얼은 인터넷에서 PDF로 다운로드하여서 프린트해서 보았습니다. 녹화기는 개인이 구입할 일이 딱히 없으니... 그래도, 퀵 매뉴얼만 넣어둔 것은 좀 심했다 싶어요.

 

한화 테크윈 XRN-410S 후면부

POE라서 우측에 UTP케이블을 꼽는 포트가 있습니다. 4 채널입니다. 여기에 꼽는 UTP 케이블은 5e급 이상이면 됩니다. POE는 전원 공급까지 함께 되는 UTP 케이블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한화테크윈 XRN-410S 4채널 네트워크 NVR 녹화기

 

리모콘, 마우스, 케이블 등
하이크비젼 IP카메라

HIKVISION 하이크 비전 IP 카메라로 구입했어요. H.265+ 녹화가 가능한 제품입니다. 4mm와 6mm로 구입했어요. 4mm는 입구, 6mm는 주차장 쪽에 설치할 예정입니다. 8mm 제품을 구입하고 싶었는데, 수입을 잘 안 한다고 하네요.

 

 

 

 

 

왜 HIKVISON를 구입했느냐... 미세먼지를 배송해 주는 중국 공장에서 만들어진 건데, 굳이 중국 제품을 구입한 이유는 가성비 때문입니다. 하이크비전은 세계 최대의 CCTV 카메라 회사입니다. 성능도 우수한데, 가격은 국내 제조사의 동일 성능 제품에 비해 30~50% 정도 저렴합니다. 최대인만큼 카메라 세팅 웹서비스도 깔끔하게 제공됩니다.

 

카메라 본체

카메라는 돔하우징이 추가로 씌워진 게 아닌 걸로 선택하였습니다. 하우징은 추후에도 적용할 수 있고, 하우징이 적용되면 무게가 1킬로가 넘어가더라고요. 새로 지은 집인데, 괜히 이것 때문에 벽에 구멍을 더 깊게 내는 게 싫었습니다. 모델은 DS-2CD2085FWD-I 입니다. 4mm와 6mm로 각각 다른 업체에서 최저가로 구입했어요~!

 

세팅 완료된 모습

위 사진은 32인치 FHD 티비에 세팅해 본 것입니다. 화면이 크게 나오는데도 깔끔하게 나오더라고요.

이렇게 CCTV와 녹화기 제조사가 다르다 보니, 자동인식은 절대 안 됩니다. 하이크비전의 녹화기가 수입이 안되고, 한화 테크윈은 카메라가 마음에 들지 않고... 어쩔 수 없이 직접 해결하기로 하였습니다. 나중에 설치 업체가 안된다고 딴소리하면 짜증도 날 것 같았어요.

먼저, 동일 회사의 카메라와 녹화기를 구입하여 연결하면 일반적으로는 자동으로 인식합니다.
하지만, 다른 회사의 제품일 경우에는 별도의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호환에 대한 약속을 서로 하는데, 카메라와 NVR 스펙을 보면 "프로토콜"이라는 게 있습니다. 지원되는 프로토콜에 서로 똑같은 게 1개라도 있으면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ONVIF라는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ONVIF가 있으면 대부분 호환이 가능합니다. 즉 세팅이 가능합니다.

세팅 1일 차
자동 세팅이 안되어서, ONVIF와 이런저런 CCTV와 녹화기에 대한 공부를 구글링을 통해 지식을 획득하였습니다. 이때 확보한 지식으로 웬만한 CCTV 세팅은 다 할 자신이 붙었어요. 개인보안 때문에, 2년 전부터는 나오는 IP 카메라는 기기에 직접 연결해서 세팅을 해줘야 합니다. 하이크비전은 고정 IP가 세팅되어 출고됩니다. 직접 연결한다는 것은 CCTV-컴퓨터 또는 CCTV-IP공유기-컴퓨터... 이렇게 사람이 컴퓨터를 통해 직접 IP 카메라로 연결해서 세팅해야 합니다. NVR는 POE가 지원되기 때문에 UTP만 꽂으면 전원 공급이 됩니다. 그래서 별도 아답터를 구입하지 않았습니다...ㅡㅡ;; 그래서 카메라에 전원을 넣을 수가 없어서 결국 직접 세팅하는 걸 포기하고 아답터를 주문하였습니다.

세팅 2일 차
세팅 1일 차가 휴일이라서, 한화 테크윈과 하이크 비전 코리아에 전화 문의를 하였습니다. 좀 더 확실하게 알아야 할 게 있었습니다. 전화했더니 양쪽 모두 한다는 소리가 이거였습니다. "타사 제품과 호환은 되도록 만들어졌지만, 100% 호환이 되지 않음을 먼저 말씀드리고 상담을 시작하겠습니다"였습니다. 이 무슨 개 짖는 소리인지... 프로토콜 지원을 한다고 했으면 100% 지원을 해줘야 하는 게 아닌가라고 따지고 싶었지만, 너무 지쳤기에 그냥 넘어가고 궁금한 것들만 물어봤습니다. 전날 주문한 아답터가 오질 않아서 세팅을 다음날로 미뤘어요.

 

 

 

 

 

세팅 3일 차
IT 기기 사서 3일까지 세팅했던 기억이 없어서... 오기가 생기더라고요. 아답터가 왔고, 카메라에 전원을 넣었습니다. 회사에서 세팅하고 싶었는데... 요즘 UTP포트 달린 노트북이 안 나옵니다 ㅠㅠ 다행히 집에 짱박아둔 5년 전 노트북 다시 꺼내서 세팅했어요. UTP 케이블 연결하고 공장 출하 시 기본 세팅된 IP로 연결하고 세팅을 도와주는 SADTool 유틸리티를 설치했어요.  이툴은 하이크비젼 코리아 홈페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P를 바꾸고, (카메라가 1대이면 안 바꿔도 됨) ONVIF 사용 옵션을 찾아서 체크했어요. ONVIF를 사용하면 DHCP는 꺼주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녹화기에서도 ONVIF로 연결 세팅을 수동으로 하였고 DHCP를 OFF로 설정하였습니다. 이때 카메라 쪽 IP와 녹화기의 IP가 중복되면 안 됩니다. 그래서 녹화기의 IP를 200번대로 하는 게 좋습니다. 연결 완료. 잘 나오는 거 확인하고 잠들었어요.

세팅 4일 차
그냥 그대로 이용하자니 찜찜하였습니다. 카메라가 외벽에 설치되면 웹 설정으로만 연결되어야 하기에... 웹 설정 연결이 안 될 가능성도 있어서 할 수 있는 세팅은 다 해놓자는 생각에 카메라와 녹화기를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컴퓨터-인터넷(IP공유기)-녹화기-카메라 순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세팅을 하였습니다.

4일 동안 기기 세팅을 했네요. 전문가였다면 30분이면 끝났을 일을... 4일에 걸쳐서 ㅎㅎ 시간으로 하면, 한 6시간 소요된 것 같습니다. 웹서버 환경 세팅하는 수준만큼이었습니다. 어쨌든 내가 원하는 스펙의 제품으로 구입하고, 그게 설치된다고 생각하니 뿌듯했어요~ 지인도 업체에 맡겼는데, 카메라 성능은 좋은데 녹화기가 카메라 해상도를 따라가지 못해서 화질이 나쁘다고 하더라고요. 제가 그런 상황이었다면 계속 찜찜했을 것 같아요.

혹시 저처럼 다르게 구입해서 고생하시는 분들, 제게 물어봐주세요. 도와드릴게요 ㅎㅎ

+추가

  • 네트워크 연결하고, 모바일에서 라이브 스트리밍도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1시간 정도 지나면 모바일앱에서 연결이 안 됨 → 네트워크 > 인터페이스에서 '전송 대역폭'을 16MB 이하로 세팅해 보세요. 전송 대역폭이 높으면 외부에서 녹화기로 연결이 Block 되는 것 같습니다. 
  • 외부 인터넷망과 녹화기가 바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스트리밍 접속이 안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외부 인터넷-유선 공유기-녹화기로 연결하시면 안정적으로 모바일 스트리밍이 됩니다. 
  • 2025년 2월에 카메라가 고장 나서 교체하면서, 위 내용을 순서로 정리함
    • 하이크비젼 카메라 구입. IP는 192.168.1.64로 기본 세팅 되어 있음
    • SADTool를 PC에 설치하고 연결하고 비밀번호 입력하고 Activate
      • 처음에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 ID 입력하라고 나오면 admin 입력, 비밀번호는 세팅
    •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192.168.1.64로
      • 이때 접속이 잘 안 된다면, PC에서 192.168.1.64 IP로 할당이 안되어서 그럴 수 있다.
      • SADTool로 세팅할 때 DHCP를 enable 한다. enable dhcp를 ON 해주면 된다.
      • 브라우저에서 접속해서 네트워크 관련 메뉴에서 ONVIF를 찾아서 활성화해 준다.(enable onvif)
    •  ONVIF 세팅이 끝나면, SADTool에서 DHCP를 세팅한 것을 다시 해제한다. ONVIF는 DHCP방식에서는 잘 동작하지 않는다. DHCP로 했던 카메라는 IP세팅이 초기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다시 세팅해줘야 한다.
      • IP 192.168.1.X 또는 192.168.0.X
        • 연결한 NVR에서 192.168.0.X로 카메라 IP가 세팅되어 있으면 192.168.0.X로 해야 함
      • Gateway 192.168.1.1 또는 192.168.0.1로 세팅. 위에서 세팅한 IP를 따라 설정하면 된다
      • Subnetmask도 확인한다. 보통 255.255.255.0으로 해주면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