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를 잘봐라!!!
블루오션 책을 읽어보면 프레임워크와 전략캔버스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학생신분이었던 제가 이해하기에는 힘든 부분이었습니다. 적절한 예제도 없었을뿐아니라, 적용되는 예시를 너무 광범위하게 설명을 해주었기 때문입니다. "블루오션 전략캔버스 적용론"은 직접 적용하여 예시를 보여줍니다. 그 적용되어지는 부분도 큰 범위가 아닌 작은 산업규모에서 설명을 해주기때문에 쉽게 이해할수 있습니다. 다들 읽어보세요~^^ 블루오션 전략 캔버스 적용론 김완석* 본 고는 [1]에서 제시한 전략 캔버스에 대한 적용 방법을 연구한 내용이다. [1]에서는 기존 시장 내에서 비고객 시장의 통합이나 재구성을 가치 혁신이라 정의하며, 전략 캔버스를 통하여 수립되는 블루오션 전략은 경쟁자 벤치마킹이 아닌 경쟁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쟁 요..
출처 URL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j-robocode/ 로보코드에 대한 설명이 더 필요할것같아서 자료를 좀더 스크랩해봅니다. 그리고 오늘은... 월요일이라서 엄청나게 졸립습니다!!! ㅋ 일단은 Java를 못하더라도 정독을 해보세요... 번역을 해놓은것이라서 이해가 어려울수도 있습니다. 번역을 통번역을 한건지..아니면 프로그래밍을 모르는 사람이 해놓은것인지...제가 영어실력이 되면 로보코드 포럼가서 자료좀 퍼와보겠습니다.아마도 그때쯤 되면 [Day-100] 정도 되지 않을까요? 총알을 피하고 정확한 공격 작전을 수행하면서 상속, 다형성, 이벤트 처리 및 내부 클래스를 배우는 것이 가능할까? 중독적인 게임광 대상 교육 툴인 Robocode가 전 ..
아래의 기사를 보면서 웃지 않을수 없었습니다. SCC,CCC,PCC,SSCC라는 신종용어를 만들어내는 기자의 재치에 웃음이 절로 나왔습니다. 옥션에서는 웹2.0에 맞게 개편을 하면서 UCC강화라는 말로 판매자 제작콘텐츠를 강화한다고 하였습니다. SCC라는 말은 어디에서 나온거죠? 그리고 CCC나 UCC나 사용자가 만든건데 Customer와 User를 굳이 구분하는 이유는? 심심하십니까? PCC역시 UCC랑 별반 차이가 없다. 아마추어와 프로의 경계는 어디이며, 일반 USER와 준프로급의 UCC는 어떻게 구분할것인가? 기준은 있나? 더욱 나를 웃기게 했던것은 SSCC입니다....SSCC를 보면 이게 Star Seller Created Contents로 생각이 되십니까? 실제로 UCC라는 말에 대해서 아는 ..
출처 : www.DefineJava.net Spring Framework Spring Framework는 2002년에 발간된 Rod Johnson의 저서 "Expert One-on-One J2EE Design and Development"에서 소개된 소스코드와 디자인 패턴들을 다시 정리하면서 2003년 초에 오픈소스로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스프링의 목적은 J2EE 기반의 Web Applicaion을 쉽게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면서 J2EE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고 계층화, 모듈화가 잘 되어 있는 유연한 프레임워크이다. 스프링은 각종 Bean의 생성 하고 관리를 하는 Light Weight 컨테이너로써 다른 프레임워크와 결합에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한다. Core 패키지는 프레임워크의 가장 기본적인..
출처 : http://www.DefineJava.net MVC 패턴 Model, View, Controller 1. Model MVC 패턴중 MODEL 영역은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Application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관리되고 Java에서는 JDBC API를 이용하여 접근하고 사용한다. JDBC API를 이용하여 쿼리문을 날려 그 결과를 전달받는 형태의 모델이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Model이란 실질적으로 일을 처리하고 그 데이터를 가공하는 역활을 하는 영역을 뜻한다. 데이터 베이스 접근, 데이터 추가, 데이터 수정, 데이터 삭제 등 사용자가 어떠한 일을 처리하는것을 뜻한다. 2. View 뷰 영역은 개발자 보다는 디자이너와 밀접한 연관이있다. ..
출처 : http://www.DefineJava.net PreparedStatement와 Statement JDBC를 사용한다면 PreparedStatement(이하 pstmt)와 Statement(stmt)를 사용하게 될것이다. 과연 이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필자도 JDBC쪽을 처음 공부할 때 도대체 "째 둘은 이름은 비슷하고 하는일도 비슷한데 왜 나누어져 있을까?" 이런 의문이 들었었다. 우선 두 객체를 사용하여 Result를 가져오는 방법이다. 소스보기 Connection conn = getConnection(); String query = null; String userId = "admin"; query = "SELECT * FROM USER WHERE USERID=?"; PreparedStat..